“혈압이 90에 70이면 저혈압인가요?”
요즘 건강검진 받으신 분들 중 이런 수치 보고 당황하신 분들 많죠.
수축기 90, 이완기 70이라면 저혈압 수치 기준에 딱 걸치는 애매한 상태인데요.
이게 위험한 건지, 일상생활에 문제가 되는지, 아니면 그냥 넘어가도 되는지…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저혈압 90/70 수치'의 의미, 증상별 체크포인트, 그리고 실제로 도움이 되는 관리 팁까지 꼼꼼히 알려드릴게요.
90에 70, 진짜 저혈압 맞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수축기 혈압 90, 이완기 70은 정확히 말하면 저혈압은 아니에요.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르면 저혈압은 90/60mmHg 이하를 의미하거든요.
그러니까 90/70은 수축기 혈압만 기준에 맞고, 이완기는 정상 범위죠.
그래서 의학적으로는 '경계성 저혈압' 또는 '저혈압 성향' 정도로 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수치보다 '증상'이에요.
혈압이 낮더라도 어지러움, 두근거림, 피로감 같은 증상이 없다면 굳이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어요.
수치는 경계, 증상이 더 중요해요
저혈압 수치보다 내가 느끼는 몸의 상태가 훨씬 중요해요.
아침에 일어날 때 핑 돌거나, 오래 서 있으면 눈앞이 캄캄해지는 느낌, 식후 졸음 등이 자주 나타난다면 그냥 넘기면 안 되죠.
이건 기립성 저혈압 또는 식후 저혈압일 수도 있어요.
특히 마른 체형, 젊은 여성, 운동 많이 하는 사람에게 흔하게 나타나요.
그냥 체질이라고 넘기기엔 삶의 질에도 영향을 주니까 생활 관리가 핵심이에요.
병원에 가야 할지 헷갈린다면?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거나, 자주 실신하거나 너무 피로하다면 내과나 심장내과 진료를 꼭 받아보세요.
특히 갑작스러운 혈압 하강, 호흡곤란, 두통이 있다면 뇌혈류 저하 가능성도 있으니 절대 무시하면 안 됩니다.
또, 특정 약을 복용 중이거나 기저질환이 있다면, 그 영향으로 혈압이 떨어졌을 수도 있어요.
이런 경우는 단순한 저혈압이 아닌 ‘이차성 저혈압’일 수 있으니 더 꼼꼼한 검사가 필요해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혈압이 90/70인데 아무 증상 없으면 괜찮나요?
➡ 네, 증상이 없다면 대부분의 경우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꾸준히 관리하며 관찰만 해도 됩니다.
Q2. 저혈압이 계속되면 뇌에 문제 생기나요?
➡ 아주 심한 저혈압이 장기간 지속되면 혈류 부족으로 뇌기능 저하 가능성도 있습니다. 증상 유무가 중요합니다.
Q3. 저혈압에 좋은 음식이 따로 있나요?
➡ 소금기 있는 음식, 수분이 풍부한 과일(오렌지, 수박), 단백질 중심 식단이 도움이 됩니다.
Q4. 저혈압인데 운동해도 되나요?
➡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유산소 위주 운동은 혈류 개선에 도움됩니다. 단, 기립성 저혈압이 심한 경우는 의사와 상담 후 진행하세요.
Q5. 저혈압도 실비보험 청구가 가능할까요?
➡ 치료 목적의 병원 방문이나 약 처방이 있다면 가능성이 있습니다. 진단명과 영수증을 꼭 챙기세요.
'고혈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혈압 정상수치 몇 mmHg? (0) | 2025.04.17 |
---|---|
위험한 저혈압 수치 숫자로 딱! (0) | 2025.04.17 |
저혈압 수치 몇부터 위험할까? (0) | 2025.04.17 |
고혈압 커피 마셔도 될까? (1) | 2025.04.17 |
고혈압에 좋은 음식 나쁜음식 이것!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