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이 높다고 다 위험한 건 아닙니다.
하지만 갑자기 심장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고, 어지러움까지 동반된다면?
그건 단순한 고혈압이 아니라 ‘고혈압 쇼크(Hypertensive Crisis)’일 수 있습니다.
특히 의식 저하나 시야 흐림, 가슴 통증까지 겹친다면 뇌졸중, 심근경색 등 중증 합병증 전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부터 고혈압 쇼크의 핵심 증상과 대처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가볍게 넘겼다가 위험을 키우는 일은 이제 없어야 하니까요.
‘고혈압 쇼크’란 무엇인가요?
고혈압 쇼크(Hypertensive Emergency)는 수축기 혈압이 18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120mmHg 이상 올라가며 동시에 장기 손상 징후가 동반되는 응급 상황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단순히 혈압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심장, 뇌, 신장, 눈 등 주요 장기의 손상을 막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런 증상, 고혈압 쇼크의 신호입니다
고혈압 쇼크는 급성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갑자기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 세부 설명 |
심한 두통 | 머리가 터질 듯한 통증, 주로 후두부에 집중 |
어지럼증 및 혼미 | 방향 감각 상실, 의식이 흐려짐 |
흉통 및 심계항진 | 쥐어짜는 듯한 가슴 통증, 빠른 심장 박동 |
구토와 메스꺼움 | 뇌압 상승의 간접 신호 |
시야 흐림 또는 이중시야 | 시신경에 영향을 주는 경우 |
호흡 곤란 | 폐부종 혹은 심장 기능 저하 신호 |
마비 증상 |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감각이 둔해짐 |
이런 증상이 2개 이상 동반되면 즉시 119를 불러 응급실로 이동해야 합니다.
‘고혈압 위기’와 ‘고혈압 응급’의 차이
고혈압 쇼크는 보통 두 단계로 나뉘는데요.
구분 | 정의 | 특징 |
고혈압 위기 (Urgency) | 혈압은 매우 높지만 장기 손상 없음 | 비교적 안정적으로 치료 가능 |
고혈압 응급 (Emergency) | 혈압 상승 + 장기 손상 동반 |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 위험 |
※ 응급은 뇌졸중, 심근경색, 대동맥 박리 등과 직결될 수 있어 즉시 입원 후 정맥약물로 혈압을 조절해야 합니다.
고혈압 쇼크, 이렇게 예방하세요
- 평소 혈압 기록 필수
→ 아침, 저녁 정기 측정으로 패턴 파악 - 증상 일지 작성
→ 두통, 어지럼증, 피로감 등을 날짜별로 정리 - 스트레스 관리
→ 급격한 자율신경 반응이 혈압 폭등 유발 - 고염식, 과음 피하기
→ 특히 외식 시 나트륨 섭취량에 주의 - 약 복용 시간 철저히 지키기
→ 자의적 중단은 매우 위험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고혈압 쇼크가 오면 집에서 대처 가능한가요?
→ 아닙니다. 자가진단과 대처는 금물이며 즉시 응급실 방문이 최선입니다.
Q2. 고혈압 쇼크는 누구에게 잘 생기나요?
→ 장기간 혈압 관리가 안된 환자, 약물 중단자, 고령층에게 발생 위험이 큽니다.
Q3. 갑자기 혈압이 180이 넘었는데 증상이 없어요. 괜찮을까요?
→ 장기 손상 증상이 없으면 ‘위기’일 수 있지만, 반드시 병원 진단이 필요합니다.
Q4. 운동 중 혈압이 갑자기 오르면 어떻게 하나요?
→ 즉시 운동 중단 후 안정을 취하고, 10분 후에도 혈압이 높으면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고혈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에 좋은 차 6가지 (0) | 2025.04.16 |
---|---|
고혈압에 좋은 음식 7가지 (0) | 2025.04.16 |
폐동맥 고혈압 증상 의외로 이렇다 (0) | 2025.04.16 |
고혈압 증세 7가지 (0) | 2025.04.16 |
고혈압 증상 어지럼증 왜 생길까?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