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혈압

고혈압 약 복용 혈압 수치 몇 mmHg부터?

by info0913 2025. 4. 3.
반응형

"혈압이 조금 높은데, 약을 먹어야 할까요?" 병원에서 혈압이 140/90mmHg을 넘었다고 하던데 약을 당장 시작해야 하는 걸까요? 혈압약은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 말도 있죠. 고혈압 약 복용이 필요한 혈압 수치는 몇 mmHg부터인지, 또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제대로 알려드립니다.

혈압 몇부터 약을 먹어야 할까?

고혈압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혈압 수치에 따라 치료 방식이 달라져요.

 

고혈압 1기(140/90mmHg 이상)일 경우, 위험 요인이 있다면 약물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고혈압 2기(160/100mmHg 이상)일 경우, 즉시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고혈압 전단계(120~139/80~89mmHg)는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혈압약, 바로 먹어야 할까요?

고혈압 약 복용 여부는 단순히 혈압 수치만으로 결정되지 않아요. 개인의 건강 상태와 위험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하죠.

🔹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혈압 140/90mmHg부터도 약물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당뇨, 만성 신장병이 있는 경우 → 혈압 목표가 더 낮아야 함
뇌졸중, 심장병 병력이 있는 경우 → 혈압 관리가 필수
고령층 (65세 이상) → 고혈압 진행 속도가 빠를 수 있음
비만, 흡연, 고지혈증이 있는 경우 →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

 

👉 즉, 단순히 수치만 보고 결정하는 게 아니라, '나의 건강 상태'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혈압약,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할까?

"혈압약을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 말을 많이 하는데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초기 고혈압(140~150/90~95mmHg)이라면?
👉 운동, 식단 개선 등 생활습관 개선을 하면 약 없이도 혈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 2기 이상(160/100mmHg 이상)이라면?
👉 약을 끊는 것이 어렵지만, 생활습관 개선으로 약의 용량을 줄이거나 조절할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한 이유!
혈압약을 복용하더라도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혈압이 안정될 수 있어요. 이런 경우, 의사와 상담 후 약을 줄이거나 끊을 수도 있습니다.

혈압약 복용 시 주의할 점

혈압약을 복용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어요.

혈압약은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갑자기 끊으면 혈압이 급상승할 수 있으니 의사와 상의 후 조절해야 합니다.
이뇨제 계열 혈압약을 복용하면 탈수 증상이 올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

👉 약을 먹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꾸준한 관리’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혈압약 먹고 커피 마셔도 될까? 위험한 조합일까?

자주 묻는 질문 (FAQ)

1) 혈압이 140/90mmHg인데 무조건 약을 먹어야 하나요?

아니요. 고혈압 1기(140~159/90~99mmHg)라면 위험 요인에 따라 생활습관 개선 후 혈압을 다시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당뇨, 신장질환이 있다면 바로 약을 처방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혈압약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하나요?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혈압이 안정되면 약을 줄이거나 끊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고혈압 2기 이상이면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할 가능성이 큽니다.

3) 혈압약을 먹으면 부작용이 있나요?

일부 사람들은 어지러움, 피로, 기립성 저혈압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 몸이 적응하며 부작용이 줄어듭니다.

4) 혈압약을 먹을 때 피해야 할 음식이 있나요?

나트륨이 많은 음식(짜게 먹는 음식), 카페인, 술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이뇨제 계열 혈압약을 복용 중이라면 바나나, 감자 등 칼륨이 많은 음식도 주의해야 합니다.

반응형